Fire water

Korean culture of drinking


Once upon a time there was a king in Korea who made his girl drink an intoxicating liquor to have many babies. A baby was born and his name was Sul which indicates alcoholic beverages in Korean. The historical poem Jewang Ungi (제왕운기 “Rhymed Chronicles of Sovereigns”) written in 1287 by Yi Seung-hyu (李承休) tells this story. Sul (술) is a compound of su (수 hanja 水 “water”) and bul (불 hanja 火“fire”) which literally means “fire water”.
Alcoholic drinks are very important in Korean culture. There are many kinds of spirits and time for drinking is always right, above all during or after dinner. Drinking together helps along friendship and it makes people speak in a more open way. In Korea drinking has its own respect and politeness rules like in other Far East countries. People who pour alcoholic drink hold the bottle with both hands and people who take drink hold the glass with both hands. This gesture derived from holding the loose sleeves of hanbok by hand to shy away from putting them in dish or on table. Unlike Japan, in Korea pouring drink before the guest’s glass is completely empty is rudeness. Not filling the empty glass again leaving guest without drink is rudeness as well.
Korean alcoholic beverages are made from various ingredients. In Korea like in China, in Japan and in Vietnam rice is the primary ingredient of spirits. Cheongju (청주 “clear wine”) is similar to Japanese sake for alcohol content and look. Soju (소주 “burned liquor”) is Korean national drink. It is traditionally obtained from rice distillate nevertheless
also from grain, barley and sweet potatoes especially when the government of Korea between 1965 and 1991 denied use of grain to obtain soju since the Koreans used almost all rice foodstuffs for making liquor! Soju is the most widely consumed beverage in Korea and it is estimated that an adult Korean consumes nearly 90 bottles of soju yearly. Alcohol content of soju is from 20% to 45% and it is similar to Chinese shaojiu and Japanese shōchū.
History of soju is linked with Mongol invasion of Korea (1231 – 1270). The Mongols learned distillation of alcohol from Persian people during their invasion of West. There are various brands of soju. Jinro is surely the most popular brand and its Chamisul (참이슬 “Real dew”) is very common. Recently Cheoum Cheoreom (처음처럼 “Like the first time”) soju of Japan-born Korean brand Lotte is increasing in sales. There are lots of local soju brands like C1 Soju of Busan.
Young people especially like makgeolli (막걸리), a white sweet liquor obtained from fermentation of boiled rice and water which has an alcohol content of
around 7%. Makgeolli was initially drunk by farmers and it is traditionally served in a bowl from which cups are filled by a ladle. Very similar liquors are Chinese choujiu and Japanese doburoku and nigorizake.
In Korea like in China and in Japan there are various flower and fruit wines containing fermented rice. Chrysanthemum wine gukhwaju (국화주) is the most popular flower wine during autumn, maehwaju (매화주) is the wine obtained from maesil flower, the Asian prunus mume which blossoms with infinite flower buds in springtime. Other flower wines are dohwaju (桃花酒) - obtained from peach flowers – and dugyeonju (두견주) a sweet wine containing petals of azalea produced in central western province Chungcheong-do.
Maesilju (매실주) is the fruit wine obtained from maesil; it is very sweet and a little alcoholic. Maesilju is common also in Japan - umeshu - in China - meijiu - and in Taiwan - wumeijiu - and it is drunk with water or on the rocks. Bokbunjaju (복분자주) is the wine of Korean black raspberry bokbunja which is slightly sour and has an alcohol content of 15-19%. Insamju (인삼주) is the liquor of ginseng root with medicinal characteristics.
Beer – introduced to Korea by Westerners – has got three most relevant brands in Korea: Cass
, Hite and OB Oriental Brewery. OB is the most popular beer and it has a slightly sweet flavour since it contains rice like other Far East beers. Recently North Korea produces its own national beer Taedonggang which is named after the Taedong River which runs through Pyongyang.
Well then we are spoilt for choice of drinking in Korea! Therefore let’s say geonbae (건배) or wihayeo (위하여) and let’s drink up a cup of delicious soju, won-syat (원샷) "one shot" obviously!

Floriano Terrano









한국의 술


국의 술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우리문헌에 나타나는 술 이야기는 제왕운기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하백의 딸 유화가 해모수의 꾀에 속아 술에 만취된 후 해모수의 아이를 잉태하였는데 그가 주몽이라는 이야기'이다. 다시 말해 술이 남녀가 인연을 갖어 고구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제왕운기* : 고려 후기인 1287년(충렬 13)에 이승휴(李承休)가 중국과 한국의 역사를 운율시 형식으로 쓴 책).
‘술(酒)’ 이라는 단어는 물 수(水)자와 불 화(火)자가 합쳐진 것으로 “뜨거운 물” 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술 문화는 한국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문화 중 하나다. 술은 한국사회에서 식사 도중이나 식사 후에 빼놓을 수 없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술’이라는 것은 사람 사이를 가깝게 해 주지만 한국의 술 문화는 그들의 문화만큼이나 예의범절을 중요시 한다. 술병을 들고 술을 따라줄 때에는 항상 두 손으로 따라 주어야 하며 이와 마찬가지도 술을 받는 사람도 두 손으로 받도록 해야 한다. (손윗사람은 경우에 따라 한 손으로 받기도 한다.) 이 예의범절은 ‘한복’의 긴 소매가 접시나 탁자 위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행동에서 비롯되어 정착되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일본과는 달리 상대방이 잔을 비우기 전에 첨잔하는 것 또한 예의가 아니며 상대방의 잔이 비었을 경우 상대방이 채워주어야 한다.
한국의 술은 여러 가지 재료로 양조된다. 옛날부터 동아시아국가에서는 술의 주 원료로 곡물을 많이 사용해왔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빚은 술은 ‘탁주(濁酒)’인데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것으로 고조선 시대부터 양조해 마셨을 것으로 추정된다. 탁주와 뿌리를 같이 하는 것은 ‘청주(淸酒)’로서 일본의 사케와 맛과 색 역시 비슷하다. 탁주와 청주 외에 한국 사람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술은 단연 ‘소주’ (燒酒)이다.
‘청주’와 ‘탁주’ 그리고 ‘소주’를 비교하자면 청주와 탁주는 발효시키는 쌀눈에 있는 일부 성분이 숙취를 일으켜 마신 뒤 뒷머리가 아파오는 등 숙취를 일으키는 반면 소주는 증류수인만큼 뒤끝이 깨끗하다. 탁주는 텁텁하고 청주는 깔끔하며 소주는 담백하다.

소주는 성인 1인 기준으로 일년에 90병이 소비되며 소주에는 알코올 성분이 20%~45% 정도가 함유되어 있어 중국의 sahojiu 와 일본의 shōchū 와 비슷하다.
소주는 몽골인이 페르시아에서 이슬람교를 받아들여오면서 같이 가져와 아시아에 전파되었다. 한국에서도 자체적인 소주 제작이 이루어졌었지만, 몽골과의 접촉이 많던 고려시대 이후 외부에서 들어온 흔히 말하는 ‘아라키’주에 의해 소주 양조가 발달한다.
한국에는 많은 종류의 소주가 있다. 주식회사 ‘진로’ 의 상표는 주류업계에서 가장 유명하며, 진로에서 생산되는 ‘참이슬’ 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소주 이름이다. 최근 새로 나온 ‘처음처럼’ 소주는 일본계 한국 브랜드 ‘롯데’ 에서 생산되어 주가를 올리고 있다. 또한 한국의 여러 지방에서는 부산의 ‘C1’과 같은 각개 지방 브랜드의 소주가 인기가 있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다양한 꽃과 과일을 사용해 술을 만들기도 한다. ‘국화주’는 가을에 가장 유행하는 꽃인 국화를 사용하고 ‘매화주’ 는 봄철 prunus mume 라는 나무에서 자라는 매실꽃을 주원료로 한다. 또한 복숭아 꽃으로 만든 ‘도화주’, 한국의 서쪽 지방 충청도에서 진달래 꽃잎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두견주’ 라는 술도 있다.
매실을 열매를 주원료로 하여 달콤한 맛을 내는 ‘매실주’ 는 일본의 umeshu와 중국의 meijiu 그리고 대만의 wumeijiu 라는 이름으로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아시아 나라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
는 술이다. 반면 ‘복분자주’ 는 한국의 ‘복분자’ 라는 검은 산딸기를 주원료로 하며 ‘인삼주’ 는 인삼을 주원료로 하고 의학적 용도로도 사용된다.
이 외에 한국에도 맥주가 사랑받는 술 중 하나인 ‘카스’ 와 ‘하이트’ 그리고 ‘오비’ 라는 세 가지의 대표적인 브랜드가 있다. 이 중에서 ‘오비’는 동부 유럽의 맥주와 같은 성분을 사용해 약간은 시
면서도 달콤한 맛을 지닌다. 한국(남한) 뿐 아니라 북한에도 대표적인 맥주가 있는데 그들만의 고유 브랜드인 ‘대동강’ 맥주는 평양을 가로질러 흐르는 태동강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로이터통신이 '최고품질의 맥주 중 하나'라고 평가한 바 있다.
서술했듯이 한국의 술 브랜드는 다양하고 매력이 있다. 이제는 ‘건배’ 또는 ‘위하여’ 를 외치며 달콤한 소주를 한번 맛 봐보자.

플로리아노 테라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