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st mystery of Far East

Places and legends

of North Korea


Present age gave us all comforts of technology but it took away sense of mystery from us. By now everything is more or less revealed and travelling is possible just by surfing the Net. Far East - symbol of mystery and of the unknown in the eyes of the westerners - showed itself too and nowadays it resembles too much West. Art, architecture, even music become more and more similar and it is hard to differentiate East from West. Only one last mystery still remains in Far East i. e. North Korea, a locked up and unknown country of which just very little is know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was founded in 1948 on the painful ashes of Japanese occupation and of Second World War. It is well-known for its isolation from world which makes it an anachronistic nation suspended in the history. The scanty news we know are only suppositions or fragments of accounts of the few escaped. Nobody knows how is the real situation above the 38th Parallel.
Satellite pictures of Korea by night show the contrast between many lights of the South and deep darkness of the North. We know more the past of this country in the dark than its present.
Between Pyongyang and Namp'o the Goguryeo Tombs lie – UNESCO world heritage site –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example of the art of the Northern Korean Kingdom (37 BC – 668 AD). Tombs' frescoes represent everyday life of Goguryeo Korea in a bright and colourful way. Pyongyang (평양 직할시 “Flat land”) was the capital of Goguryeo Kingdom from 427 to 668 conquest by Silla.
Architecture follows the time and in North Korea signs of the past live together with the new buildings. The capital is the place where this contrast is well perceivable and it is the only city of which we know some architectural symbols. Historical name of Pyongyang is Ryugyŏng “capital of willows” (류경, hanja 柳京) and it seems that there are still many willows in the city. Ryugyŏng Hotel is named after the ancient poetic name of the city. The hotel is an endless setting-up cement pyramid which is the highest building of the country and it is one of the symbols of North Korea itself. Begun in 1987 and not completed yet, it is 330 meters tall and it stands out above the foggy horizon of the capital. The rough architecture was built by Baikdoosan Architects and Engineers and it is an huge skeleton which is not Korean, not Far Eastern and - in a manner of speaking - not "human". Its style is
neither modern nor ancient, neither beautiful nor ugly – since ugliness is an aesthetic category itself - it is a loss of cultural roots of past Korea memorial. In the capital – insofar as we know – few signs of the past still remain: the eastern gate Taedongmun (대동문) built near Taedong River in the Korean classic style with granite arch and wall on which there is a wooden double sloping pavilion, the western gate Potongmun (보통문) near Potong River rebuilt after Korea War and the pavilions on the Moran hill “peony hill” (모란봉).
Some new monumental buildings have been erected trying to appreciate Korean tradition from a modern point of view, according to ideology of North Korea. Classical style roofs with bent slopings are built on aseptic Stalinist-style buildings like the Grand People's Study House (인민대학습당, 1982), the national library which raises on Kim Il-sung Square.
Tradition can’t blend in with modernity also in sculpture like Chollima statue erected in 1961 on Mansu hill. Chollima (천리마, hanja 千里馬) is the mythical winged horse of Korean culture. Its name means “Thousand-li horse” because it can cover long distance without resting. Many
chollima statues and paintings had been recovered in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chollima is one of the national symbols.
Impressiveness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public architecture. The biggest stadium of the world is in fact Rŭngrado May First Stadium of Pyongyang (릉라도 5월1일경기장, 1989). Every year during springtime in this stadium Arirang mass games (아리랑 축제) are arranged which are very famous for the choreographies of dancers and mosaic pictures of the tiers. “Dear Leader” Kim Jong-il attended Arirang as well together with his daughter Sul-Song who always went around with him as his secretary. We know very few and uncertain news about Sul-Song. Rumour has it that she is very beautiful, tall and long-haired, very intelligent. Her name means “Snow Pine Tree” (雪松) and it was decided by her grandfather Kim Il-Sung. She followed her father on his journeys by armoured trains and she is in charge of literary affairs for government. Nothing is known about her present role during Supreme Leader Kim Jong-un's regency.
We know these few vague news only about North Korea life.
Although empty and foggy roads of Pyongyang still hide a lot of secrets. For this reason North Korea is one of the last mysteries of Far East, perhaps the last one. The last mystery of nowadays world which loses its cultures forever by mixing up more and more East with West. The last mystery, who knows until when. Until the day when a long-awaited everyday train will leave from Seoul for Pyongyang.

Floriano Terrano









동양 최후의 미스테리, 북한


대 사회의 발전된 기술에 따른 정보력은 우리들에게 ‘비밀’ 이라는 단어를 무색하게 만든다. 옛날 서양 사람들에게는 머나먼 동양의 문화가 신비로울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인터넷을 통해 궁금해 하는 많은 것들이 밝혀지고 예술, 건축 그리고 음악 분야의 동, 서양간 문화 차이가 사라지고 있다. 이럼에도 동양에는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은 베일에 쌓인 국가, ‘북한’이 있다. 북한에 대해서는 소수의 정보만 알려졌을 뿐, 대부분은 비밀리에 묻혀있다.
1948년 일본 식민통치에 이어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분단이라는 아픈 역사 속에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북한)과 남한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지금 시대에 알려진 북한에 대한 정보는 단순 추정에 의한 것 또는 북한에 탈출한 몇몇 사람들의 증언에 의한 것 뿐이다. 한반도를 반으로 가르고 있는 38선의 북쪽, 북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 세계로부터 고립된 북한은 시대적으로 가장 뒤쳐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위성으로 찍은 한반도의 야경 사진을 살펴보면 아래쪽 남한은 불빛이 찬란하지만, 위쪽 북한은 칠흙 같은 어둠으로 덮여있다. 이렇듯 어둠과 베일에 둘러 쌓인 북한의 현재 모습과는 달리 과거에 대해서는 그나마 우리가 접할 수 있는 건축 정보들이 있다.
북한의 수도는 ‘평양’이라는 도시이다. 평양은 오래 전 고구려(37BC - 668AD) 왕조 시대의 수도이기도 해 평양과 그 주변 도시에서는 한국의 과거 모습들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평양의 근교 도시에는 유네스코(UNESCO) 세계 역사 유물로 지정 된 바 있는 고구려 왕조 시대의 고분이 있는데, 그 내벽에 그려진 벽화들은 당 시대 사람들의 삶을 다채로운 색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북한 건축의 상징인 ‘류경호텔’은 ‘버드나무의 수도’라는 뜻을 가진 평양의 역사적 이름인 ‘류경’에서 따 온 것인데 이는 현재까지도 평양에 수많은 버드나무들이 심어져 있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1987년부터 현재까지 완공 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이 ‘류경호텔’은 피라미드 형식으로 높이가 330 미터에 달하며 북한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자 북한의 상징이 되었다. 현대적인 양식도 아니고 그렇다고 예전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것도 아닌 어중간한 상태로 남아있다.
고구려 왕조 시대의 고분 외에 평양에는 고구려 문화의 흔적들을 여기저기서 접할 수 있다. 동쪽에 흐르고 있는 대동강 주변에는 고구려 평양성의 동문이었던 ‘대동문’이 있는데 이는 화강암을 사용하여 아치형식으로 지어졌다. 서쪽 보통강 기슭에 지어진 ‘보통문’은 고구려 평양성의 서대문이었으며 한국 전쟁 후 재건축 되었고 현존하는 한반도 성문 가운데에 가장 오래되었다.
이렇듯 과거의 유물 외에도 북한에서는 북한 특유의‘주체 사상과 이데올로기’의 의미를 지닌 기념비적인 건물들 또한 찾아볼 수 있다. 1982년 김일성 70세 생일에 맞춰 건립된 북한의 국립도서관 ‘인민대학습당’이 대표작인데 ‘스탈린식 건축’을 따르는 반면 한 덩어리를 이루는 34개의 지붕에 녹색 청기와를 앉혀 전통미까지 살렸다.
1989년 건립된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경기장인 ‘릉라도 5월 1일 경기장’ 등, 몇몇의 북한 건축물들은 묘한 특색을 남긴다. 1961년 만수 언덕에 세워진 천리마 조각상은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쉬지 않고 천리를 달릴 수 있는 말’인 ‘천리마’를 형상화한 것으로 북한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 한반도. 남한과 북한이 통일되어 많은 사람들이 갈망하는 서울과 평양을 왕복하는 열차가 언제부터 달리게 될 수 있을까.

플로리아노 테라노

No comments: